맨위로가기

히로시마 전철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를 운행하는 노면전차 노선으로, 총 5.4km 구간에 20개의 정류장이 있다. 1호선부터 8호선까지 다양한 계통이 운행되며, 히로시마 전철 시내선 모든 노선이 본선을 경유한다. 1912년 개통되었으며, 1945년 원폭 투하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복구되었다. 히로시마역을 포함한 여러 정류장에서 JR, 아스트램 선 등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히로시마시의 히로시마역 재정비 계획에 따라 노선 변경이 예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로시마 전철 - PASPY
    PASPY는 히로시마현을 중심으로 사용된 비접촉식 IC 카드였으나, 할인 혜택과 다양한 사업자 참여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유지 비용 문제로 2025년 3월에 서비스가 종료되고 MOBIRY DAYS나 ICOCA 등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 히로시마 전철 -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선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선은 7호선과 8호선 두 계통으로 운행하며, 히로시마 시내 중심부, 히로시마항, 히로시마 시 서부 지역, 요코가와역 등을 연결하며, 1917년 개통 후 원자폭탄 투하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복구되었고, 2019년 4월부터 운행 방식이 변경되었다.
  • 히로시마시의 교통 - 히로시마항
    히로시마항은 히로시마현에 위치한 고대부터 이용된 항구로, 근대적인 무역항 및 군항으로 정비되어 쇼와 시대에 항만 시설이 확장되었으며, 현재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여러 해운 회사의 정기 항로가 운영된다.
  • 히로시마시의 교통 - 히로시마 신칸센 운전소
    히로시마 신칸센 운전소는 산요 신칸센 및 하카타미나미선의 운행을 담당하며, 1974년에 발족하여 서일본 여객철도 관할로 변경되었고, 2022년부터 산요 신칸센 총괄본부의 관할이 되었다.
  • 일본의 노면전차 노선 - 오카야마 전기궤도 히가시야마 본선
    오카야마 전기궤도 히가시야마 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의 오카야마역 앞과 히가시야마·오카덴 박물관역을 잇는 3.1km 길이의 노면전차 노선으로, 1912년에 개업하여 11개의 정류장을 운영하며, 2027년 봄에 오카야마역전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 일본의 노면전차 노선 - 삿포로 시영 전차
    1909년 설립된 삿포로 시영 전차는 삿포로시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으나, 지하철 건설로 노선이 축소되어 현재는 순환 노선으로 운영되며 삿포로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히로시마 전철 본선
노선 정보
노선명히로시마 전철 본선
노선색'#00a85f'
'오른쪽에 [[원폭 돔]]을 보면서 [[아이오이 다리]]를 달리는 914호 전차'
오른쪽에 원폭 돔을 보면서 아이오이 다리를 달리는 914호 전차
소재지히로시마시
기점히로시마역 정류장
종점히로덴 니시히로시마역
정류장 수19개소
노선 기호M
개업1912년 11월 23일
운영자히로시마 전철
노선 거리5.4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 방식직류 6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속도40 km/h
노선도
범례hSTRq: 일반 철도 노선
hBHFq: 일반 철도 역
STR+l: 좌측 연결 철도 노선
LSTR: 좌측 시작 철도 노선
uKBHFaq: 좌측 상단 연결 철도 역
uSTR+r: 우측 연결 철도 노선
uBHF: 일반 철도 역
uhKRZWae: 철교
uABZgl: 좌측 연결 교차로
uBHFq: 일반 철도 역
HUBrg: 우측 하단 연결 교차로
HUBeq: 우측 상단 연결 교차로
HUBa: 좌측 상단 연결 철도 역
HUBaq: 양방향 연결 철도 역
uABZg+r: 우측 연결 교차로
HUBtr: 연결 교차로
HUBe: 상단 연결 철도 역
uBHF(L)f: 좌측 하단 연결 철도 역
uBHF(R)g: 우측 상단 연결 철도 역
uWBRÜCKE1: 다리
uSTR: 일반 철도 노선
utBHFq: 양방향 연결 철도 역
uKRZt: 철도 환승역
utSTRq: 일반 철도 노선
utKBHFeq: 우측 연결 철도 역
uHSTq: 우측 연결 철도 노선
uABZgl+l: 좌측 연결 교차로
uSTRc2: 양방향 연결 철도 노선
uBHF3: 중간 연결 철도 역
uSTR+1: 일반 철도 노선
uSTRc4: 일반 철도 노선
uABZqlr: 양방향 연결 교차로
HUBtg: 연결 교차로
uBHF(L)fq: 좌측 하단 연결 철도 역
uBHF+1: 중간 연결 철도 역
KBHFaq: 좌측 상단 연결 철도 역
ulHST: 우측 연결 철도 노선
주요 역 및 시설
M1히로시마역 정류장
M2엔코바시초 정류장
M3마토바초 정류장
M4이나리마치 정류장
M5가나야마초 정류장
M6에비스초 정류장
M7핫초보리 정류장
W1핫초보리 정류장 (하쿠시마 방면)
M8다치마치 정류장
M9가미야초히가시 정류장
M9가미야초니시 정류장
M10원폭 돔 앞 정류장
M11혼가와초 정류장
M12, Y1도카이치마치 정류장
M13도바시 정류장
M14고아미초 정류장
M15템마초 정류장
M16간온마치 정류장
M17니시간온마치 정류장
M18후쿠시마초 정류장
M19히로덴 니시히로시마역

2. 노선 정보

히로시마시 중심부(삼각주 지역)를 동서로 관통하는 노선으로, 가미야초, 핫초보리 등 도심(중심업무지구)과 JR역(히로시마역, 니시히로시마역)을 잇는 역할을 하며, 세계유산원폭 돔 앞도 경유한다. 아라가미바시(사루가와), 이나리오하시(교바시가와), 아이오이바시(구 오타가와), 히로덴 덴만바시(덴만가와), 신코이바시(오타가와 방수로) 등 5개의 다리를 건넌다. 이 중 히로덴 덴만바시는 궤도 전용교로, 본선 유일의 전용 궤도 구간이기도 하다.

대부분 구간은 아이오이도오리, 데라마치도오리, 헤이와도오리 등 도로폭이 넓은 간선도로의 궤도 병용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도바시마치 교차로부터 덴만마치 교차로 사이는 도로 폭이 15m 전후(일반 도로에서는 편도 1차선+양쪽 보도 정도)로 복선 궤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의 정류장(고아미초 정류장, 덴만마치 정류장, 간논마치 정류장)은 승강장 폭이 좁거나 안전지대가 없는 정류장이 되어 있어, 정차 전 차내 방송으로 그 내용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사루가바시마치 정류장도 승강장 폭이 좁다.

역 번호 부여에서 사용되는 노선 기호는 '''M'''[2]이며, 번호는 직통 운행하고 있는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선과 통합하여 부여된다. 라인 컬러는 녹색이다.[3]

2. 1. 노선 데이터

항목내용
노선 거리 (영업 킬로)5.4km
궤간1435mm
전차 정류장 수20 (종점 포함. 가미야초니시, 가미야초히가시는 별도 계산)
복선 구간전선
전화 구간전선 (직류 600V)


3. 운행 형태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히로시마시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가미야초, 핫초보리 등 도심과 JR 역(히로시마역, 니시히로시마역)을 연결하고, 세계유산원폭 돔 앞을 경유한다. 아라가미바시(사루가와), 이나리오하시(교바시가와), 아이오이바시(구 오타가와), 히로덴 덴만바시(덴만가와), 신코이바시(오타가와 방수로) 등 5개의 다리를 건너며, 이 중 히로덴 덴만바시는 궤도 전용교로 본선 유일의 전용 궤도 구간이다.

대부분 구간은 아이오이도오리, 테라마치도오리, 헤이와도오리 등 도로 폭이 넓은 간선도로에 궤도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바시마치 교차로부터 덴만마치 교차로 사이는 도로 폭이 좁아 정류장 폭이 좁거나 안전지대가 없는 경우가 있어, 정차 전 차내 방송으로 안내한다. 사루가바시마치 정류장도 같은 이유로 승강장 폭이 좁다.

역 번호 부여에 사용되는 노선 기호는 '''M'''[2]이며, 번호는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선과 통합하여 부여된다. 노선색은 녹색( )이 사용된다.[3]

3. 1. 운행 계통

히로시마 전철 본선 전 구간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은 2호선이다. 2호선을 포함한 모든 노선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하며, 본선만으로 운행이 완료되는 노선은 없다. 2001년 10월까지는 히로시마역 - 핫초보리 - 고이 구간만 운행하는 노선을 2호선으로 하고, 미야지마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번호가 없었다.

히로시마 전철 시내선 모든 노선이 본선을 경유하며, 모든 구간에서 여러 노선의 전차가 운행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전차 정류장[4]에는 목적지를 안내하는 접근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2013년 2월 15일 다이어 개정부터 9호선(시로시마 - 핫초보리)의 일부 전차가 핫초보리 이후 가미야초, 도바시를 경유하여 에나바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각 노선별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운행 계통본선 통과 구간비고
1호선히로시마역 - 핫초보리 - 가미야초히가시 - 미나미마치 6정목 - 히로시마항히로시마 역 - 가미야초히가시 간3량 또는 5량 연결 전철로 운행 (아침·저녁은 1량 운행)
2호선히로시마역 - 핫초보리 - 가미야초히가시·니시 - 원폭 돔 - 니시히로시마 - 히로덴 미야지마구치히로시마 역 - 가미야초히가시·니시 - 니시히로시마역3량 또는 5량 연결 전철로 운행 (일부 2량 연결 전철 운행)
3호선니시히로시마 - 원폭 돔 - 가미야초니시 - 미나미마치 6정목 - 히로시마항 (평일 아침/저녁 미야지마선 직통)히로덴 니시히로시마 - 가미야초니시 간1량 운행 (평일 출퇴근 시간 3량 연결 전철 운행)
5호선히로시마역 - 히지야마시타 - 미나미마치 6정목 - 히로시마항 (막차는 미나미마치 6정목 종착)히로시마 역 - 마토바초 간1량 운행 (평일 출퇴근 시간 3량 연결 전철 운행)
6호선히로시마 역 - 핫초보리 - 가미야초히가시·니시 - 원폭 돔 - 도카이치 - 후나이리 - 에바히로시마 역 - 가미야초히가시·니시 - 도바시 간1량 운행
7호선요코가와역 - 도카이치 - 가미야초니시 - 히로덴 앞 (평일 아침 요코가와역 발 히로시마항 행)도카이치 - 가미야초니시 간1량 운행 (평일 출퇴근 시간 3량 연결 전철 운행)
8호선요코가와 역 - 도카이치 - 후나이리 - 에바도카이치 - 도바시 간1량 운행 (평일 출근 시간 3량 연결 전철 운행)


4. 역사

1912년(다이쇼 원년) 11월 23일,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히로시마에키마에(현재의 히로시마역) - 야구라시타(현재의 원폭돔마에) 구간 개통으로 운행을 시작했다.[1] 같은 해 12월 8일에는 아이오이바시 - 코이(현재의 히로덴 니시히로시마)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1]

1944년(쇼와 19년) 12월 26일, 사칸초(현재의 혼카와초) - 도바시 구간의 노선이 사카이초 경유에서 토오카이치초 경유로 변경되었고, 요코가와선의 사칸초 - 토오카이치초 구간이 본선에 편입되었다.[1]

1945년(쇼와 20년) 8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미국의 원자 폭탄 투하로 인해 전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1] 그러나 곧 복구 작업이 시작되어, 8월 9일 니시텐만초 - 코이 구간을 시작으로 구간별 단선 복구가 이루어졌다. 같은 해 12월에는 전 구간 복선 운행이 재개되었다.[1]

1946년(쇼와 21년) 1월 7일, 본선과 우품선 간 순환 운행이 시작되었다.

1958년(쇼와 33년) 6월 20일, 오전 러시아워에 히로시마에키마에·우품쥬산쵸메(현재의 우품니쵸메) - 쿠사쓰(미야지마선) 구간 직통 운행이 개시되었다.

1962년(쇼와 37년) 1월 10일, 상시 다이어로 히로시마에키마에 - 히로덴 하츠카이치(미야지마선) 구간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1] 1963년(쇼와 38년) 5월 6일에는 미야지마선 직통 운행 구간이 히로덴 미야지마(현재의 히로덴 미야지마구치)까지 연장되었다.[1]

1964년(쇼와 39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오타가와 방수로 공사로 인해 칸논초 - 코이 구간 노선이 도마치 경유에서 헤이와도오리 경유로 변경되었다.[1]

1968년(쇼와 43년) 6월 1일, 1호선(우품 - 히로시마에키마에), 2호선(히로시마에키마에 - 코이), 3호선(코이 - 우품)이 순환식에서 피스톤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1999년(헤이세이 11년), 이 해 다이어 개정으로 1호선·3호선 오전 러시아워 시 단차 차장 승무가 없어졌다.

2001년(헤이세이 13년) 4월 10일, 히로시마에키마에 - 원폭돔마에 구간 운임이 기간 한정으로 120엔으로 인하되었고, 이는 당초 반년 예정에서 1년으로 연장되어 2002년(헤이세이 14년) 4월 9일까지 실시되었다.[1] 같은 해 11월 1일에는 코이 전차정거장이 히로덴 니시히로시마역으로 통합되었고, 가미야초 정류장이 가미야초히가시와 가미야초니시로 분할되었다.[1]

2013년(헤이세이 25년) 2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9호선(시라시마 - 하치죠보리)이 하치조보리에서 에나까지 직통 운행을 개시하였다.

4. 1. 개요

1912년 11월 23일 히로시마 역 앞(현재의 히로시마역) - 아오이 교(현재의 원폭 돔 앞) 구간이 개통되었고, 같은 해 12월 8일 아오이 교 - 고이(현재의 히로덴 니시히로시마) 구간이 개업하면서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1]

1944년 12월 26일, 혼가와쵸 - 도바시간 노선이 사카이쵸 경유에서 도카이치쵸 경유로 변경되었고, 요코가와 선의 일부가 본선에 편입되었다.[1]

1945년 8월 6일 원자 폭탄 투하로 전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으나, 8월 9일부터 구간별 단선 복구가 시작되어 12월에는 전 구간 복선 운행이 재개되었다.[1]

1962년 1월 10일, 히로시마 역 앞 - 미야지마 선 히로덴 하쓰카이치 구간에서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고,[1] 1963년 5월 6일에는 직통 운전 구간이 히로덴 미야지마(현재의 히로덴 미야지마구치)까지 연장되었다.[1]

1964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오타가와 방수로 공사로 인해 간온마치 - 고이 간 노선이 이전되었다.[1]

2001년 4월 10일, 히로시마 역 앞 - 원폭 돔 앞 구간 운임이 기간 한정으로 120엔으로 인하되었고(2002년 4월 9일까지 실시),[1] 같은 해 11월 1일에는 고이 역이 히로덴 니시히로시마 역으로 명칭이 통일되었으며, 가미야초 정류장이 가미야초히가시와 가미야초니시로 분할되었다.[1]

4. 2. 연혁


  • 1912년 11월 23일 히로시마 역 앞(현재의 히로시마역) - 아오이 교(현재의 원폭 돔 앞)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2년 12월 8일 아오이 교 - 고이(현재의 히로덴 니시히로시마) 구간이 개업해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
  • 1944년 12월 26일 혼가와초 - 도바시 구간의 노선이 사카이초 경유에서 도카이치초 경유로 변경되었다. 요코가와 선의 일부를 본선에 편입하였다.
  • 1945년 8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미국에 의한 원자 폭탄 투하로 인해 전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 1945년 8월 9일 니시텐만초 - 고이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8월 15일 니시텐만초 - 오아미초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8월 19일 오아미초 - 도바시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8월 21일 도바시 - 도카이치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8월 23일 사칸초 - 도카이치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9월 7일 하치조보리 - 사칸초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10월 1일 야마구치초 - 하치조보리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10월 11일 야마구치초 - 히로시마 역 앞 구간이 단선으로 복구되었다.
  • 1945년 12월 전 구간 복선 운행이 재개되었다.
  • 1962년 1월 10일 히로시마 역 앞 - 미야지마 선 히로덴 하쓰카이치 간 직통 운전이 개시되었다.
  • 1963년 5월 6일 미야지마 선 직통 운전 구간을 히로덴 미야지마(현재의 히로덴 미야지마구치)까지 연장하였다.
  • 1964년 9월 1일 - 9월 7일 오타가와 방수로 공사로 인해 간온마치 - 고이 간의 노선이 이전되었다.
  • 2001년 4월 10일 히로시마 역 앞 - 원폭 돔 앞 간의 운임을 기간 한정으로 120엔으로 인하하였다. (당초 반년 간의 예정을 1년 간으로 연장해 2002년 4월 9일까지 실시되었다).[1]
  • 2001년 11월 1일 고이를 히로덴 니시히로시마로 명칭을 통일하였다. 가미야초를 가미야초히가시와 가미야초니시로 나누었다.[1]
  • 2013년 2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9호선(시라시마 - 하치조보리)이 하치조보리에서 에나까지 직통 운행을 개시하였다.

5. 정류장 목록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에 있는 히로시마 전철 본선의 정류장 목록이다.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히로시마시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가미야초·핫초보리 등 도심과 히로시마역, 니시히로시마 등 JR 역을 연결한다. 또한 원폭 돔 앞을 경유한다.[2]

본선은 아라가미바시(사루가와), 이나리오하시(교바시가와), 아이오이바시(구 오타가와), 히로덴 덴만바시(덴만가와), 신코이바시(오타가와 방수로) 등 5개의 다리를 건넌다. 이 중 히로덴 덴만바시는 궤도 전용교로, 본선 유일의 전용 궤도 구간이다.[2]

대부분의 구간은 아이오이도리, 데라마치도리, 헤이와도리 등 도로 폭이 넓은 간선 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바시마치 교차로에서 덴만마치 교차로 사이는 도로 폭이 15m 정도로 좁아, 이 구간의 고아미초, 덴마초, 간온마치 정류장은 승강장 폭이 좁거나 안전지대가 없다. 이 정류장들에 정차하기 전에는 차내 방송으로 안내한다.[2] 사루가바시마치 정류장도 승강장 폭이 좁다.[2]

역 번호는 M이며,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선과 통합하여 부여된다. 노선색은 녹색( )이다.[3] 가미야초히가시와 가미야초니시는 2001년 10월 31일까지 '가미야초'라는 같은 이름이었기 때문에 같은 번호(M9)를 사용하며, 지금도 동일 정류장으로 간주한다.[2]

마토바초, 핫초보리, 가미야초(가미야초히가시, 가미야초니시), 도카이치마치, 도바시, 히로덴니시히로시마는 환승 지정 정류장이다.[5]

5. 1. 정류장 목록 (표)

거리 (km)영업
거리 (km)운행 계통접속 노선소재지M1히로시마역広島駅-0.0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산요 본선, 게이비 선미나미구M2엔코바시초猿猴橋町0.20.2M3마토바초的場町0.30.5히로시마 전철 미나미 선 (히지야마 선)M4이나리마치稲荷町0.30.8M5가나야마초銀山町0.41.2나카구M6에비스초胡町0.21.4M7핫초보리八丁堀0.11.5
히로시마 전철 하쿠시마 선M8다치마치立町0.31.8M9가미야초히가시紙屋町東0.32.1히로시마 전철 우지나 선
히로시마 고속 교통 아스트램 선 (겐초마에 역)가미야초니시紙屋町西
M10겐바쿠돔마에[5]原爆ドーム前0.32.4M11혼카와초本川町0.42.8M12도카이치마치[5]十日市町0.33.1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선M13도바시[5]土橋0.33.4히로시마 전철 에바 선M14고아미초小網町0.23.6M15덴마초天満町0.34.0니시구M16간온마치観音町0.24.2M17니시칸온마치西観音町0.34.5M18후쿠시마초福島町0.34.7M19히로덴니시히로시마[5]広電西広島0.75.4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 (일부 계통 직통),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니시히로시마역)

5. 2. 환승 안내

히로시마 전철 본선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정류장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번호노선환승
M1히로시마역 JR 산요 신칸센, 산요 본선, 구레 선, 가베 선, 게이비 선 (히로시마역)
M3마토바초 히지야마 선
M7핫초보리 하쿠시마 선
M9가미야초히가시 / 가미야초니시 우지나 선, 아스트램 선 (겐초마에 역), 히로시마 버스 센터
M10겐바쿠돔마에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M12도카이치마치 요코가와 선
M13도바시 에바 선
M19히로덴니시히로시마 미야지마 선,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니시히로시마역)



마토바초(的場町), 핫초보리(八丁堀), 가미야초(紙屋町)(가미야초히가시(紙屋町東), 가미야초니시(紙屋町西), 혼도리(本通)), 도카이치마치(十日市町), 도바시(土橋), 히로덴니시히로시마(広電西広島)는 환승 지정 정류장이다.[5]

5. 3. 특이 사항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대부분 구간이 넓은 간선도로에 설치되어 있지만, 일부 구간은 도로 폭이 좁아 정류장 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도바시마치 교차로에서 덴만마치 교차로 사이는 도로 폭이 15m 정도로 좁아, 이 구간의 고아미초, 덴마초, 간온마치 정류장은 승강장 폭이 좁거나 안전지대가 없다.[2] 이 정류장들에 정차하기 전에는 차내 방송으로 안내한다.

사루가바시마치 정류장도 승강장 폭이 좁다.[2]

6. 향후 계획

히로시마 전철#에키마에오하시선 및 환상선 건설, 에키마에오하시(히로시마시)#에키마에오하시선, 히로시마역 빌딩 ASSE#개축 계획, 히로시마 역#개량 공사 참조.[7]

히로시마시는 2014년(헤이세이 26년) 9월 2일, '히로시마역 남쪽 광장 재정비 등에 관한 기본 방침'을 수립, 공표했다. 이에 따르면 본선은 히로시마역-이나리마치 간에서 에키마에오하시 경유로 노선이 변경될 예정이다. 히로시마역-마토바초 간 현행 노선 폐지 및 마토바초-이나리마치 간 환상 운행 노선 활용 방안 등은 히로시마시와 히로시마 전철 간 협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6. 1. 히로시마역 재정비 계획

히로시마시는 2014년 9월 2일, '히로시마역 남쪽 광장 재정비 등에 관한 기본 방침'을 수립하여 공표했다. 이에 따르면, 본선은 히로시마역 - 이나리마치 구간에서 에키마에오하시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고, 히로시마역 - 마토바초 구간의 현재 노선은 폐지될 전망이다. 또한, 마토바초 - 이나리마치 구간은 미나미선과 함께 가미야초·미나미마치를 잇는 환상 운행 노선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운행 편수 등에 대해 히로시마시와 히로시마 전철 간에 협의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7]

참조

[1] 논문 Diversification Strategy of the 'Minor' Private Railway Companies in Japan https://ses.library.[...] Institute of Transport and Logistics Studies.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The University of Sydney 2001-01-01
[2] 문서 Main Line, Miyajima
[3] 웹사이트 広電宮島口 https://www.hiroden.[...] 広島電鉄
[4] 문서 広島電鉄では路面電車は「電停」と呼称し、鉄道線である宮島線は「駅」と呼称。
[5] 웹사이트 電車のご利用方法:乗換え制度|電車情報|広島電鉄 https://www.hiroden.[...]
[6] 웹사이트 路線・電停ガイド - 本線 http://www.hiroden.c[...] 広島電鉄 2015-11-09
[7] 보도자료 広島駅南口広場の再整備等に係る基本方針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city.hir[...] 広島市 2014-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